해외Issue

"의약품 100%, 가구 50%"…트럼프의 '관세 폭탄' 선언, 당신의 지갑을 정조준했다

baroissue.com입력 2025.09.26. 오후 01:08 보내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0월 1일을 기점으로 외국산 의약품과 트럭, 가구 등 광범위한 품목에 걸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관세 폭탄'을 예고하며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의 부활을 선언했다. 트럼프는 25일(현지시간) 자신의 SNS를 통해, 미국 내에 제약 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지 않은 모든 외국 기업의 브랜드 및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에 달하는 징벌적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미 공장 건설을 시작한 경우에는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여 해외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 시설 투자를 노골적으로 압박했다. 그의 관세 공세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같은 날부터 대형 트럭에는 25%, 주방 캐비닛과 욕실 세면대 등에는 50%, 소파를 포함한 모든 가구에는 30%의 관세를 각각 부과하겠다고 연이어 발표했다. 트럼프는 이러한 조치가 피터빌트, 켄워스 등 자국의 위대한 대형 트럭 제조사들을 불공정한 외부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고, 국가 안보를 위해 트럭 운전사들의 재정적 안정을 보장하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특정 품목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때 대통령에게 수입 제한 권한을 부여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그 근거로 삼을 것임을 시사하며, 강력한 실행 의지를 내비쳤다.

 


트럼프의 전방위적인 관세 장벽 구축 선언이 나온 바로 그날, 미국의 의료계는 정반대의 목소리를 내며 정부에 인력 개방을 호소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미국의사협회(AMA)를 필두로 한 53개 주요 의학 단체들은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에게 보낸 공개서한을 통해, 외국인 의사들에게 전문직 비자(H-1B) 신청 수수료로 10만 달러(약 1억 4천만 원)라는 거액을 부과하려는 정책을 즉각 철회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현재 미국에서 활동하는 의사 약 4명 중 1명이 해외 의대 졸업생일 정도로 이들이 의료 공백을 메우는 데 오랫동안 지대한 역할을 해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가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외국산 공산품의 유입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동안, 의료 현장에서는 바로 그 '국가 안보'의 근간이 되는 의료 시스템을 지키기 위해 외국인 의사들이 필수적이라며 수입 장벽을 허물어달라고 절규하고 있는 셈이다. 상품의 국경은 닫고 인력의 국경은 열어달라는 상반된 요구가 동시에 터져 나오면서, '미국 우선주의'를 둘러싼 복잡한 딜레마가 수면 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에디터스 초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