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Issue

'핵탄두 탑재' 가능성... 김정은이 직접 참관한 '공포의 순항미사일' 실체

baroissue.com입력 2025.02.28. 오전 10:55 보내기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직접 참관 하에 서해상에서 전략순항미사일 발사 훈련을 실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보도했다. 이번 발사는 최근 한반도 주변 정세가 긴장되는 가운데 북한의 핵 억제력을 재차 과시하는 행보로 분석된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6일 서해 해상에서 복수의 전략순항미사일을 발사했으며, 발사된 미사일들은 각각 7,961초(약 2시간 13분)와 7,973초(약 2시간 13분) 동안 1,587km의 타원형 궤도를 따라 비행한 후 목표 지점을 정확히 타격했다고 전했다. 이는 북한이 공개한 순항미사일 중 가장 긴 비행시간과 거리를 기록한 것으로, 북한의 미사일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된다.

 

특히 이번에 공개된 영상과 사진에서는 미사일이 수면 가까이 낮게 비행하는 모습과 낮은 언덕 위 저층 건물을 타격해 폭파하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어, 북한이 레이더 탐지를 회피하는 저고도 비행 능력과 정밀 타격 능력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군사 전문가들은 이러한 저고도 비행 능력을 갖춘 순항미사일은 적의 미사일 방어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무기라고 평가한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번 발사 훈련 결과에 만족감을 표시하며 "핵억제력의 구성부분들의 신뢰성과 운용성을 지속적으로 시험하고 그 위력을 과시하는 것 그 자체가 전쟁억제력의 책임적인 행사"라고 자평했다. 이는 북한이 이번 미사일 발사를 단순한 무기 시험이 아닌 핵 억제력의 일환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발언이다.

 

또한 김 위원장은 "강력한 공격력으로 담보되는 것이 가장 완성된 억제력이고 방위력"이라며 "핵무력의 보다 철저한 임전태세를 갖추고 그 사용에 만반으로 준비됨으로써 믿음직한 핵방패로 국가의 주권과 안전을 영구적으로 수호해 나가는 것은 공화국 핵무력 앞에 부여된 책임적인 사명과 본분"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북한이 핵무력을 국가 안보의 핵심 수단으로 계속해서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전략순항미사일 발사훈련에는 김정식 노동당 중앙군사위원과 장창하 미사일총국장이 김 위원장을 수행했다. 특히 장창하 미사일총국장은 북한의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핵심 인물로, 그의 참석은 이번 발사가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북한은 앞서 지난달 26일에도 해상(수중)대지상 전략순항미사일을 시험발사한 바 있다. 당시 시험 발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첫 무기체계 시험이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처럼 북한이 짧은 간격으로 연이어 미사일 발사를 진행하는 것은 미국의 새 행정부에 대한 압박과 함께 자신들의 군사적 역량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안보 전문가들은 북한이 발사한 전략순항미사일이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북한이 공식적으로 이 미사일을 '전략'무기로 분류한 것은 핵탄두 탑재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북한이 실제로 핵탄두를 탑재한 순항미사일 능력을 갖추게 된다면, 이는 한반도 안보 상황에 새로운 위협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이번 미사일 발사는 최근 미국과 한국이 연합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가운데 이루어져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 성격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한미 연합훈련을 자국에 대한 '침략 연습'으로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해왔다.

 

국제사회, 특히 미국과 한국, 일본은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려를 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를 금지하고 있으나, 순항미사일은 이 금지 대상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아 북한이 이를 활용해 군사 역량을 과시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미사일 시험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 정책을 재검토하는 시점에서 북한은 자신들의 존재감과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군사적 시위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많이 본 이슈

에디터스 초이스